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물적분할 인적분할 뜻 차이점

반응형

규모가 큰 회사는 세부 사업 단위로 기업을 나누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유형에는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물적분할 인적분할 뜻 차이점

물적분할 뜻

물적분할은 규모가 큰 기업이 한 사업 영역을 따로 분리하여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전기 제품을 주로 만드는 A 회사가 IT 계열의 아이템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을 확장했는데 이 사업이 좋은 실적을 내서 'A 전자'라는 새로운 기업을 만드는 것입니다. 물적분할의 경우 A회사가 'A 전자'의 지분을 100% 보유하면서 경영권을 갖게 됩니다. A 전자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고 있기 때문에 수직적 분할이라고도 이야기합니다. A 기업은 신규 상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자신의 지배 하에 A 전자를 두고 있기 때문에 경영권도 방어할 수 있게 됩니다. 기존 A 회사의 주주들에게는 어떤 영향이 생길까요? '지주회사 디스카운트'라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여기서 지주회 사는 A회사를 말합니다. A  회사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A회사의 가치는 떨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A회사 주주들이 A전자로 옮겨가는 상황도 생기면서 A회사의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LG화학은 배터리 사업부를 LG에너지솔루션으로 물적분할 시켰습니다. 공모주 청약을 통해 새롭게 LG에너지솔루션의 주주가 된 사람들은 상장 이후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만 기존의 LG화학 주주들은 기업의 핵심 산업이 분리되면서 손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물적 분할 이전 100만 원이 넘었던 LG화학의 주가는 물적분할 이후 그 절반까지 하락하였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으며 현재는 모기업인 LG화학의 시가총액의 두 배를 넘은 상태입니다.

인적분할 뜻

인적분할도 물적분할과 마찬가지로 모기업이 사업을 분리하여 새로운 신설회사를 만드는 것입니다. 차이점은 새롭게 생겨난 기업의 주식을 기존 모회사의 주주에게 나눠준다는 점입니다. 주주가 바뀌지 않고 기존 주주가 나눠가지게 된다는 점에서 수평적 분할이라고도 이야기합니다. 따라서 주주의 입장에서는 물적분할보다는 인적분할을 선호하게 됩니다. 인적분할로 만들어지는 회사 역시 상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현재 인적분할이 예정되어 있는 기업의 예로 한화설루션이 있습니다. 한화설루션이 영위하고 있는 백화점 부문은 한화갤러리아로 3월 신규 상장될 것으로 예정되고 있습니다. 한화설루션의 주요 사업 분야는 에너지 부문으로 갤러리 사업과는 성격이 안 맞는 부분이 있습니다. 각자의 사업을 더 명확하게 하여 효율적인 기업 운영을 위해 인적분할을 결정했습니다. 한화설루션은 9대 1의 인적분할을 예고했습니다. 이대로 한화갤러리아가 상장이 되면 기존에 한화설루션 10주를 가지고 있던 주주는 상장 이후 한화설루션 9주와 한화갤러리아 10주를 보유하게 됩니다. 이는 한화설루션 주식의 액면가가 5,000원이고 한화갤러리아 주식의 액면가는 500원일 때 기준입니다. 이렇나 인적분할은 기존 주주들의 반발이 심하지 않아 경기가 안 좋은 시점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좋은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물적분할 인적분할 차이점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 구조에 있습니다. 물적분할은 신설법인의 주식을 모회사가 모두 보유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신설 기업의 경영권을 모기업이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인적분할로 설립된 기업은 분할 초기에는 모기업과 신설기업의 주주가 동일인이지만 시간이 지나고 투자자들이 자유롭게 거래하면서 신설기업은 독립적인 기업으로 변합니다.

 

이렇게 기업이 효율적인 경영을 위하여 자회사를 분리하는 물적분할 및 인적분할의 의미에 대해서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고 둘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물적분할의 경우 기존 주주들이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할 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투자자들이 반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며 정부 측에서도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