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 관련된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종목을 매수하기 전 살펴보는 대표적인 지표로는 PER, PBR, PSR, PCR이 있습니다. 각 지표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수치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Price Book Value Ratio로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PBR은 기업의 자산 대비 시가총액을 의미합니다. 기업은 자본금만큼 주식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A기업이 10억 원의 자본금을 가지고 상장을 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A기업은 10억 원만큼의 주식만 발행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주식의 현재가치의 합을 의미합니다. 10억 원어치의 주식이 발행됐지만 주가가 올라 시가총액이 15억이 되었다면 A 기업의 PBR은 1.5가 됩니다. 즉 PBR은 현재 시가총액을 자본금으로 나눈 값이 됩니다. 그렇다면 PBR은 높은 게 좋을까요 낮은 게 좋을까요? PBR이 높다는 것은 시가총액이 높다는 뜻이고 현재 주가가 높다는 말이 됩니다. 주가는 낮을 때 매수하고 높을 때 매도하는 것이 수익을 내는 방법입니다. PBR이 높다는 것은 현재 주가가 높다는 뜻이므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PBR이 낮아야 매력적인 기업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은 Price Eearing Ration로 주가수익비율을 뜻합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A기업의 현재 주가가 1만 원이고 주당순이익이 5천 원이라면 A기업의 주가수익비율은 2가 됩니다. 주당순이익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만일 주당순이익이 2만 원이라면 주가수익비율은 0.5가 됩니다. 이와 같이 PER은 그 수치가 낮을수록 매력적인 기업입니다.
PSR, 주가매출비율
PSR은 Price per Sales Ratio로 주가매출비율입니다. 기업의 시가 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구합니다. 시가총액이 1,000억 원인 A기업의 매출액이 500억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PSR은 2가 됩니다. 시가총액이 1,000억 인 기업이 500억의 매출을 달성한다면 매우 큰 매출을 이뤄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PSR은 높은 게 좋은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1,000억 인 기업이 500억의 매출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PSR이 높다는 것은 매출액이 증가한 경우라기보다는 시가총액이 커진 결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가총액이 커졌다는 것은 1주의 가격이 비싸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저렴할 때 매수를 생각하는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진입 시기가 아닌 것이죠. 따라서 PSR은 낮을 때가 좋습니다. 보통은 1 미만이면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PCR, 현금흐름비율
PCR은 Price Cash flow Ratio로 주가를 주당현금흐름(CPS)으로 나누어 구합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영업성과에 대해 주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서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C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이 많다고 볼 수 있는데요. PCR은 주가를 CPS로 나눈 값이므로 그 값이 낮은 것이 좋습니다.
이번에는 기업의 주가와 관련된 용어인 PER, PBR, PSR, PCR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다른 보조 지표들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지표들도 주가의 방향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식 투자에 있어 참고정도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투자자와 주가의 관계 (0) | 2023.01.29 |
---|---|
주식 거래 유형 - 스캘핑, 데이 트레이딩, 스윙매매 (0) | 2023.01.28 |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23.01.26 |
보통주 & 우선주 뜻, 특징, 비교 (0) | 2023.01.26 |
권리락 배당락 뜻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