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보통주 & 우선주 뜻, 특징, 비교

반응형

주식을 거래하다 보면 똑같은 종목인데 종목의 이름 앞에 '우'라는 글자가 붙은 또 하나의 종목을 보게 됩니다. 예로 한화투자증권과 한화투자증권우가 있습니다. 똑같은 회사인데 왜 '우'를 붙여 또 하나의 주식 종목을 만든 걸까요? 한화투자증권을 보통주라고 하고 한화투자증권우를 우선주라고 합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정확한 뜻과 각 각의 특징 및 비교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보통주 및 우선주

보통주

우리가 거래하는 대부분의 주식이 바로 보통주입니다. 대부분의 주식 투자자들은 주가의 등락에 따른 시세 차익을 위해 주식 매매를 합니다. 하지만 주식이라는 것은 사실 회사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증서입니다. 만일 어떤 종목의 주식 1%를 보유하고 있다면 그 회사의 경영에 관해 1%만큼의 의사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의사결정권을 의결권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때 회사에서 주주총회를 개최하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 보유자에게 주주총회 안내문이 우편으로 날아오는 것입니다. 주주총회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외에 보통주를 보유함으로써 갖는 권리에 대해 더 살펴보겠습니다. 보통주를 매수한 경우 회사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청산하는 경우 잔여 재산을 보유 지분에 따라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또 배당을 하는 기업의 보통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배당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우선주

우선주는 왜 발행할까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유상증자 등을 통해 주식을 발행하는 방법이 있고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보통주를 발행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보통주에는 회사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의사결정권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기업이 보통주를 추가로 발행하면 이 주식을 사는 투자자들은 회사의 경영권을 갖게 됩니다. 즉 회사 경영 지분이 분산되는 위험이 있습니다. 우선주의 가장 큰 특징은 보통주를 보유함으로써 갖게 되는 의사결정권이 없다는 것입니다. 자금은 조달하고 싶지만 경영권을 방어하고 싶을 때, 우선주를 발행하는 것입니다. 우선주의 종류는 4가지가 있습니다. 우선주에 대한 배당금이 일정 우선 배당률이나 배당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부족분을 다음 해에 받을 수 있는 누적적 우선주가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당해 우선배당을 못 받는 경우 다음 연도에 보충해서 배당금을 받지 못하는 우선주를 비누적적 우선주라고 부릅니다. 일정 우선배당을 받고 나머지 보통주에 대해 배당 후 남은 이익금에 대해 추가 배당받을 수 있는 참가적 우선주와 잔여 이익이 있을 시 보통주 주주에게만 추가배당이 돌아가는 비참가적 우선주가 있습니다. 참고로 우선주는 보통주를 발행한 기업만 발행할 수 있으며 우선주 발행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주식의 25%를 넘을 수 없습니다.

보통주와 우선주 비교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통주와 우선주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의결권의 유무에 있습니다. 배당 기업의 경우 보통주를 보유한 주주보다 우선주를 보유한 주주에게 더 많은 배당이 이루어집니다. 회사가 청산하는 경우 우선주 주주가 보통주 주주보다 먼저 변제권을 갖게 됩니다. 주가 변동에 따른 차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 성향의 투자자는 보통주를, 배당을 목적으로 장기투자하는 성향을 지닌 투자자는 우선주를 매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선주 역시 차익 실현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사에 좋은 소식이 있어 보통주가 오르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보통주와 우선주가 모두 상승합니다. 하락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우선주의 주식 수는 보통주의 1/4 미만이기 때문에 주가의 변동이 보통주보다 더 빠릅니다. 보통주가 오르는 경우 우선주도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여 우선주를 급하게 매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주가 하락하게 되면 우선주는 더 빠르게 하락하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방법에도 리스크가 따릅니다. 보통주에 대해서는 배당을 하는 기업도 있고 그렇지 않은 기업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선주의 경우 1년마다 반드시 배당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은 보통주와 우선주 발행을 전략적으로 계획합니다. 회사의 경영권 방어에 이슈가 있는 기업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우선주를 발행하며 경영권에 문제가 없는 경우 유상증자 등의 방법을 통해 보통주를 발행합니다.

반응형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 PER, PBR, PSR, PCR  (0) 2023.01.27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2023.01.26
권리락 배당락 뜻  (0) 2023.01.26
공매도 뜻, 장단점  (0) 2023.01.25
국민연금 주식투자  (0)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