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스팩 주식

반응형

2021년에는 스팩 주식들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뚜렷한 종목의 이름 없이 증권사의 이름을 붙여 'O호 스팩O호'로 불립니다. 그렇다면 스팩 주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팩 주식이미지

스팩 주식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 스팩 제도가 도입된 것은 2009년입니다. 2008년 IMF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기업 운영을 위한 자금을 조달받는 것이 힘든 상태였습니다. 특허 기술이 있음에도 자금 조달이 어려워 성장하지 못하는 기업들을 위해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도입한 것이 스팩 제도입니다. 스팩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자입니다. 이렇게 원래 단어를 풀어서 보면 이해가 가는데요. 단어 그대로 기업을 인수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회사를 말합니다. 회사 자체가 어떤 사업을 영위하는 목적이 아닌 페이퍼 컴퍼니입니다. 거래소에서 일반 주식처럼 사고팔 수는 있도록 되어 있으나 3년 이내에 적절한 기업을 찾아 인수 합병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면 상장폐지됩니다. 피인수기업은 복잡한 주식 상장 절차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가 되면서 회사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보통의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휴지조각'이 된다고 말합니다. 이후 주식의 가치는 장외에서만 거래가 되는데 거의 가치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금이 보장되는 스팩 주식

하지만 스팩 주식의 경우에는 상장폐지가 되더라도 투자 원금과 더불어 약간의 이자까지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원금 손실의 위험이 없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투자 원금 부분입니다. 투자 원금이란 스팩 주식 보유자가 주식을 매수한 단가가 아니고 스팩의 공모가인 2,000원을 말합니다. 만일 주식 보유자가 스팩 주식이 3,000원까지 오른 상태에서 상장폐지를 당했다면 1,000원의 원금은 손실을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보통 스팩 주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2,000원 밑으로 내려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또 다른 스팩 주식의 특징은 바로 증거금률이 100%라는 점입니다. 회사의 주식에 따라서 증거금률이 20%~100%까지 다양합니다. 증거금률이 40%인 종목은 100만 원을 가지고도 100만 원을 넘는 금액만큼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해당 주식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스팩 주는 증거금률이 100%인 주식으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예수금만큼만 주식 매입이 가능합니다. 스팩 공모주 역시 주식 종목들처럼 일반 개인 청약자들과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스팩 주식은 평소에는 주가의 등락이 거의 없습니다. 거래도 많이 체결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팩 주식이 어떤 기업을 인수한다는 뉴스가 보도되면 주가는 순식간에 상한가로 직행하고 그다음 날도 상한가가 찍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팩 주식은 인수 목적을 가진 페이퍼컴퍼니이기 때문에 시가총액이 작고 유통 물량 역시 작기 때문에 주가의 등락폭이 큽니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미리 보유한다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시가총액이 작기 때문에 시세 조종이 상대적으로 용이해 큰 손실이 날 가능성도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스팩 주식 기업 합병 과정

다음은 스팩 주식의 기업 합병 과정입니다. 스팩이 인수 대상 기업을 선정하게 되면 거래소에 합병 승인 신청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내용은 전자공시로 투자자들이 볼 수 있게끔 알려지고 이후에는 합병 심사에 들어가게 되며 심사 기간 동안에는 주식 거래가 중단됩니다. 합병심사가 종료되면 주식 거래가 다시 시작되는데 합병 심사의 경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승인이 완료되면 신주가 상장됨으로써 합병절차가 마무리됩니다. 스팩 주식 투자는 원금이 보장되는 주식 상품이면서도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종목입니다. 하지만 작은 시가총액으로 주가의 급등락 폭이 크기 때문에 순간 주가가 크게 오른다고 하여 아무런 정보 없이 추격 매수를 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반면 스팩주는 2,000원 밑으로는 잘 내려가지 않고 해당 금액의 원금이 보장된다는 이러한 스팩 주식의 매력을 아는 투자자들은 스팩 주식만 매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