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엘리엇 파동이론

반응형

주식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매할 때 차트를 활용하게 됩니다. 차트의 패턴을 통해 주가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과 관련해서는 여러 이론과 패턴들이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것이 엘리엇 파동이론입니다. 주식 매매에 있어 많이 참고하는 엘리엇 파동이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엘리엇 파동이론 이미지

엘리엇 파동이론

엘리엇 파동이론은 미국 회계사 닐슨 엘리엇이 만들어낸 주식 패턴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주식의 상승과 하락을 선으로 이어 패턴으로 정립한 것입니다. 주가는 일정한 패턴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내용인데요. 거시적으로 상승 5 파동과 하락 3 파동의 모습을 엘리엇 파동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식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가상화폐 거래에도 적용이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상승 3 파동은 5번의 움직임을 통해 그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주가는 매번 상승과 하락을 반복합니다. 중간에 있는 두 번의 작은 하락을 포함하여 큰 세 번의 상승을 상승 3 파동이라고 부릅니다. 3번의 상승 중 1번 상승 파동이 가장 낮으며 마지막 3번 상승 파동이 가장 높아 주가의 고점을 기록합니다. 이후 하락이 시작하여 하락 3 파동을 그리는데 하락파동 역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결국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위아래로 5번 움직이고 마지막 고점을 찍은 뒤 하락, 상승, 하락 3번을 그리며 하락 3 파동을 하게 됩니다. 1번 파동은 본격적인 주식의 상승을 나타내는 파동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1번 상승파동이 상승 폭이 가장 낮기 때문에 이것이 엘리엇 파동의 1 파동이라는 것을 알아채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2번 파동은 1번 상승 파동에 대한 조정으로 짧은 하락이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1번 상승 파동 주가에서 40~60% 정도 하락하게 됩니다. 중요한 점은 1번 상승분의 최저점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3번 파동은 상승 5 파동 중 가장 큰 힘이 실린 파동입니다. 가장 크게 상승하며 오랜 시간 동안 상승합니다. 1번과 2번 파동을 지켜보면서 엘리엇 파동을 눈치챈 투자자들은 3 파동을 기대하며 많은 거래량이 실리고 이에 강하게 주가의 상승이 발생합니다. 4번 파동은 3번 파동에 대한 조정 파동입니다. 3번 상승 파동의 40%가량의 하락이 나오는데 보통 2번 하락 파동보다는 낮은 하락 조정이 발생합니다. 마지막 5번 파동은 주가의 상승세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마지막 상승국면인 만큼 주가는 최고점을 찍게 되지만 하락 국면에 대한 위기감으로 사람들은 눈치를 보는 시점이기 때문에 많은 거래가 발생하지 않으며 주가 상승의 폭도 낮습니다. 상승 5 파동이 끝나면 하락 3 파동이 시작됩니다. 엘리엇 파동을 모르시는 분들은 하락 1파를 상승 5파에 대한 조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 1파는 본격적으로 하락이 시작되는 시작점입니다. 하락 2 파동은 하락 1파에 대한 기술적 반등이 일어나는 상승입니다. 하락 1 파동을 보고 새롭게 들어온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발생됩니다. 또한 하락 1 파동에서 보유 주식을 처분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하락 2파에서 반등할 때 주식을 정리하는 기회로 삼기도 하는 구간입니다. 마지막 하락 3 파동은 가장 큰 하락이 나타나는 구간입니다. 잠깐의 반등만 보이고 다시 하락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은 가지고 있던 물량을 매도하기 본격적으로 매도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엘리엇 파동은 실제 비트코인에서 몇 개월에 걸쳐 거의 정확한 수치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엘리엇 파동은 꽤 정확한 확률을 보여 여러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지표이긴 항상 맞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도 나타나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믿는 것은 위험합니다. 이러한 엘리엇 파동은 수개월에 걸쳐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단기간에 발생해 일봉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은 참고할 만한 지표이지만 변형적인 패턴이 많고 파동의 시작과 끝을 찾아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 파동을 근거로 매매를 할 때엔 불확실성에 대해 항상 유의해야 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은 피보나치수열과도 관련이 있는데요. 다음엔 이 피보나치수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