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주식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대용금 뜻

반응형

주식 계좌에 돈을 입금하면 이것이 내 예수금이 됩니다. 주식을 사고파는 것은 당일에 이루어지지만 사실 주식의 실제 결제일은 이틀 뒤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 거래는 전자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투자자가 트레이딩 시스템을 통해 주식을 사고팔면 이 거래는 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증거금이나 미수금, 대용금이란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오늘은 주식 예수금과 증거금, 미수금, 대용금의 뜻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식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대용금

주식 예수금

주식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증권사에 계좌를 만들고 그곳에 돈을 입금해야 합니다. 주식 계좌로 들어온 금액을 예수금이라고 말합니다. 예수금은 일반 입출금 계좌에 들어있는 금액처럼 바로 출금이 가능한 금액을 말합니다. 100만 원이 들어있던 계좌에서 오늘 10만 원 수익을 내서 예수금이 110만 원이 된 경우 당장 110만 원을 출금할 수는 없습니다. 내 계좌에 110만 원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결제일은 D+2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결제 시스템 때문에 D+1 예수금과 D+2 예수금이란 용어가 있습니다. 따라서 앞서 말씀드린 110만 원은 D+2일에 출금이 가능한 것입니다. 주식 계좌에 100만 원이 들어있고 오늘 50만 원만 주식 매매에 사용하였다면 50만 원은 당장 출금할 수 있습니다. 100만 원어치 주식을 샀다가 50만 원어치를 바로 매도하고 나머지 50만 원은 내일 매도한 뒤 그 뒤로 거래가 없다면, D+2에 50만 원을, D+3일에 50만 원을 각각 출금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주식 계좌에 넣어놓은 돈을 급한 일이 있어 일반 입출금 계좌로 출금하기 위해서는 미리 계획을 해야 합니다. 현재 1,000만 원어치의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100만 원을 일반 입출금 계좌로 출금하기 위해서는 반대로 D-2일 전에 100만 원어치의 주식은 매도하여 예수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주식 증거금 및 미수금

주식 종목마다 증거금률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기업의 신용이 좋은 경우, 즉 쉽게 말해서 우량한 기업은 30% 증거금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가가 10만 원인 종목의 증거금률이 30%인 경우 3만 원의 예수금만으로 이 주식 종목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증거금률이 20%라면 20만 원을 가지고도 100만 원어치의 주식을 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와 같이 실제 보유한 예수금보다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제도가 주식 증거금 제도입니다. 주식 증거금 거래는 미수금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보유한 예수금으로 그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보다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다는 것은 쉽게 말해 외상거래를 했다는 것입니다. 외상거래와 같은 말이 바로 미수 거래입니다. 실제 보유한 예수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증거금률을 활용해 예수금보다 더 많은 주식을 매수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지면 반대매매가 발생합니다. 반대매매란 내가 보유한 주식을 증권사에 강제로 처분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미수거래는 증권사에서 나에게 돈을 빌려준 것인데 내가 보유한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면 증권사에서도 채권 확보를 위해 강제로 반대매매를 실행시키는 것입니다. 증거금률이 100%인 종목들도 있습니다. 앞서 포스팅한 스팩 주식이나 관리 종목 등 기업의 신용이 많이 떨어져 있는 종목들은 증거금률이 100%입니다. 이러한 종목들의 경우 보유한 예수금만큼만 주식을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주식 대용금

주식 대용금이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려 주식을 매입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어치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용금 비율이 60%라면 대용금이 60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예수금 60만 원이 없어도 60만 원어치의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증거금과 대용금 모두 내가 보유한 예수금보다 더 큰 금액만큼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증거금은 예수금을 그 담보로, 대용금은 주식을 담보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거래 세금과 배당금 뜻  (0) 2023.01.23
주식 액면가와 액면분할 뜻  (0) 2023.01.23
스팩 주식  (0) 2023.01.22
엘리엇 파동이론  (0) 2023.01.22
주식 변동성완화장치 기준 및 시간  (0) 2023.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