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유상증자 무상증자 뜻

반응형

주식을 거래하다 보면 유상증자, 무상증자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들려옵니다. 기업이 투자자들을 위해 공개하는 정보 중에는 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로 구분되는데,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는 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뜻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유상증자 뜻

기업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주식을 시장에 상장시키거나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증자가 있습니다. 증자란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유상증자란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팔고 재원을 조달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게 되면 이자가 발생하고, 부채가 증가하면서 재무상태가 안 좋아지기 때문에 그런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주식의 수를 무한정으로 늘릴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자본금만큼만 늘릴 수 있습니다. 기업의 자본금이 10만 원이고 주가가 1만 원이라면 기업은 10개의 주식을 발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미 자본금만큼 주식이 발행되어 있는데 어떻게 주식을 추가로 발행할 수 있을까요? 주식의 가격을 낮추면 됩니다. 1만 원이던 주가를 5,000원으로 낮추면 총 20개의 주식을 발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10개의 주식에 추가로 10개의 주식을 발행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유상증자를 하겠다고 발표한 기업의 주식을 이미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은 1만 원짜리 주가가 5천 원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겪게 되니 화가 납니다. 그래서 유상증자 발표가 있는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주가가 떨어지기 전에 먼저 청산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유상증자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제삼자배정방식'의 유상증자의 경우입니다. 이러한 유상증자 방식은 주주가 아닌 회사의 임직원이나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한 유상증자입니다. 주식을 더 발행했는데 그 주식을 회사의 임원에게 배정합니다. 그러면 그 주식의 가격은 시간이 지나면서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야 이득을 보기 때문입니다. 중소기업이 유상증자를 하는데 그 대상이 대기업이라면 대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목적인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는 미래를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기 때문에 나쁠 것이 없습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목적에는 시설투자를 위한 목적, 기업 인수를 위한 목적,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 채무를 상환하기 위한 목적 등이 있습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목적의 경우에는 좋은 의미의 유상증자이며 나머지 두 경우의 유상증자는 주가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상증자 뜻

무상증자는 돈을 받지 않고 무료로 주식을 늘려준다는 의미입니다. A기업이 100% 비율로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A기업의 주식 100주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200주의 주식을 갖게 됩니다. 만일 50%의 비율로 무상증자를 한다면 150주가 됩니다. 기업이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는 해당 기업의 주식 거래 활성화를 위함입니다. 앞선 글에서 액면분할에 대해서 말씀드렸고 그 목적 중의 하나가 주식 거래 활성화라고 알려드렸습니다. 무상증자 역시 고정된 자본금을 가지고 주식을 추가 발행하는 것이므로 주식 수는 늘어나고 주가는 떨어집니다. 따라서 주식 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추가 발행된 주식은 기존 주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에게 피해는 가지 않습니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되고 자본은 다시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구성됩니다. 잉여금은 쉽게 말해 남는 돈입니다. 무상증자는 이 자본잉여금을 활용하게 되는데, 잉여금이 있다는 것은 회사가 당장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가지고 있다는 말로 회사의 자금 사정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무상증자를 하겠다는 말 자체가 회사의 현금 유동성이 좋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무상증자는 대부분 주가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처럼 유상증자는 대부분 주가에 안 좋은 영향을, 무상증자는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유상증자도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증자의 목적과 대상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반응형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ETN 의미  (0) 2023.01.25
유상감자 및 무상감자 뜻  (0) 2023.01.25
공모주 청약 방법  (0) 2023.01.24
스톡옵션 및 우리사주 뜻  (0) 2023.01.24
주식 재무재표 보는 방법 : 현금흐름표  (0) 202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