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스톡옵션 및 우리사주 뜻

반응형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이 필수적입니다. 회사들은 인재를 빼앗기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스톡옵션 권리를 주기도 합니다. 스톡옵션과 유사한 의미로 '우리 사주'라는 것도 있는데요. 스톡옵션 및 '우리 사주'의 뜻과 둘 간의 차이점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스톡옵션 및 우리사주

스톡옵션 뜻

스톡옵션은 정확하게 말하면 주식은 아닙니다.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대개 사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에서 직원들에게 부여하는 권리입니다. 스타트업은 초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발생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당장 큰 급여를 줄 수도 없는 입장에서 회사는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주는 것입니다. 스톡옵션은 미래 어느 특정 시점에서 특정 금액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현재 A 기업의 주가가 1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미래에 회사가 성장하여 주가가 5만 원이 되는 경우 5만 원의 주식을 1만 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물론 회사의 주가가 5천 원으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에는 스톡옵션 권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에 손실은 없습니다. 회사가 성장해 주가가 오르면 자신의 이득이 되기 때문에 직원은 더 열심히 일하게 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주가가 떨어져 봐야 본전이기 때문에 스톡옵션을 준다고 하면 받는 것이 무조건 이득인 것입니다. 스톡옵션을 행사한 이후 해당 주식을 그대로 보유할지 아니면 바로 매도하여 이익을 취할 것인지는 개인이 선택하면 됩니다. 스톡옵션을 받게 되는 경우 기업과 직원은 주식매수선택권 계약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회사를 믿고 구두로만 약속을 했다가는 나중에 다른 소리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스톡옵션을 받기로 결정했다면 계약서는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스톡옵션을 받기로 계약한 다음 퇴사하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지급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스톡옵션 계약을 체결한 뒤 2년 동안은 회사에 반드시 근무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즉 최소 2년은 근무를 해야 해당 권리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약속한 스톡옵션 행사 기일이 다가오면 권리를 행사하겠다고 밝히고 약속한 주가로 계산한 금액을 회사에 입금하면서 주식을 보유하게 됩니다. 스톡옵션은 권리를 행사하는 시점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연간 2천만 원까지는 비과세가 적용되나 그 이상의 경우에는 비상장주식을 거래한 것으로 간주되어 10% 이상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참고로 기업의 대표는 법적으로 스톡옵션을 받을 수 없으며 임직원의 동기부여 및 기업의 성장을 위하여 스톡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주 뜻

우리 사주란 간단하게 말해서 회사의 지분을 분배받는 것입니다. 직원들이 회사의 지분을 직접 소유하게 됨으로써 애사심을 고취시키고 회사의 성장을 위해 직원 스스로가 더 열심히 노력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회사에 설립된 우리 사주조합을 통해 취득한 주식은 한국증권금융원을 통해 예탁되며 이렇게 예탁된 주식은 세제혜택을 받게 됩니다. 우리 사주는 공모주 청약 시에도 언급되는데요. 공모주를 청약할 때에는 기관투자자와 일반투자자에게 80% 정도가 배정되며 나머지 20%가 우리 사주에 배정됩니다. 우리 사주가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일반투자자처럼 하락의 리스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사주제도에는 '보호예수기간'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주식을 가지고 있어도 일정 기간 동안에는 매도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급등하여 지금 팔면 큰 이익을 보는 경우에도 보호예수기간에 걸려있다면 팔지 못하는 것입니다. 드디어 주식을 팔 수 있는 시기가 되었는데 주가가 떨어져 있다면 손해를 보고 팔거나 다음 상승시기를 다시 기다려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 사주도 세제 혜택이 있습니다. 연말정산 시 우리 사주에 대해서는 400만 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우리 사주를 인출할 때에는 3년 동안 보유한 경우 50%, 5년 이상 보유한 경우에는 75%까지 소득세가 감면됩니다. sk아이테크놀로지가 상장할 때에는 직원 218명이 거의 모두 청약에 참가하였는데 그 당시 청약 주식의 수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직원 1인당 평균 13,000주를 청약한 것이 됩니다. 공모가가 105,000원이었는데 2021년 209,500원까지 찍었던 주가는 2023년 1월 현재 6만 원대로 떨어졌습니다. 공모에서 청약을 받은 직원들은 209,500원일 때 주식을 매도해 이익을 취하고 싶었겠지만 보호예수로 팔지 못해 아쉬워했을 것입니다.

 

오늘은 회사가 유능한 직원들의 유출을 방지하고 회사의 성장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인 스톡옵션과 우리 사주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한 방법이지만 만일 스타트업이나 상장을 앞둔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이라면 오늘의 내용을 잘 알고 기회를 활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